한국의 사이버 보안 리스크 (법제도, 해킹사례, 미국대비)
법제도적 리스크와 정책 미비한국은 사이버 보안 관련 법제도가 점차 강화되고는 있으나, 여전히 선진국 대비 구체성과 실행력이 부족한 부분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 주요 사이버 보안 관련 법으로는 「정보통신망법」, 「전자금융거래법」, 「국가사이버안보기본법(제정 진행 중)」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들 법안은 다음과 같은 한계를 지닙니다:기관 간 역할 중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국정원 등 다양한 부처가 개입하나 컨트롤타워 부재로 인해 일관된 전략 수립이 어려움민간과의 협력 부족: 대다수 보안 위협은 민간 영역에서 발생하지만, 대응 체계는 여전히 공공 중심실효성 있는 처벌 규정 부족: 보안 사고 발생 시 기업의 책임이 명확하지 않아 반복적 사고 유발이와 비교해 미국의 경우, 「국토안보부(DHS)」..
2025. 4. 7.
스타트업이 주의할 보안 리스크 (자산관리, 인적보안, 클라우드)
정보자산 관리 미흡으로 인한 리스크스타트업은 한정된 자원으로 운영되다 보니, 정보자산 관리에 소홀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다양한 보안 위협의 출발점이 됩니다. 특히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기 쉽습니다:데이터 분산 저장: 파일이 개인 노트북, 외장하드, 클라우드 등 여러 곳에 분산되어 있어 보안 관리가 어렵습니다.암호화 미흡: 중요한 기획서, 고객 정보, 소스코드 등이 암호화되지 않은 상태로 보관되기도 합니다.자산 목록 미작성: 어떤 정보가 어디에 보관되어 있는지 파악하지 못해 침해사고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어렵습니다.이를 방지하기 위해선 조직 차원에서 정보자산을 식별하고 목록화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또한, 문서 보관 위치, 백업 주기, 암호화 여부 등을 명시한 자산 관리 정책을 마련해야 하..
2025.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