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스마트시티 보안 리스크 (교통, CCTV, IoT 연계 위협)

by 지인0 2025. 4. 10.

스마트 교통 시스템: 해킹으로 멈추는 도시

스마트시티의 핵심 요소 중 하나인 **지능형 교통 시스템(ITS)**은 실시간 교통 신호 제어, 자율주행 지원, 대중교통 추적 등을 통해 도시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보안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 신호등 해킹: 실제로 미국과 이란 등에서 교통 신호 제어 시스템이 해커의 조작을 받아 신호등이 동시에 적색으로 바뀐 사례가 존재합니다. 이는 교통 정체와 사고 유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대중교통 시스템 마비: 버스, 지하철 등의 위치 추적 및 운영 시스템이 해킹될 경우 시민 이동 혼란 초래
  • 자율주행차량과의 연결 위협: 스마트 도로 인프라와 연결된 자율차는 시스템 탈취 시 직접적인 생명 위협 가능

또한, ITS는 클라우드와 통신하며 실시간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네트워크 지연이나 DDoS 공격에도 매우 민감합니다. 이에 대한 실시간 대응 시스템과 레거시 장비에 대한 보안 업그레이드가 필수적입니다.


공공 CCTV와 생체정보 보호 문제

스마트시티에는 수천 개의 CCTV와 AI 기반 영상 분석 시스템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이들 시스템은 범죄 예방, 교통 감시, 인구 흐름 분석 등 다양한 목적에 사용되지만 동시에 개인정보와 영상 데이터 유출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 AI 얼굴 인식 해킹: 카메라에 입력되는 영상과 AI 학습 데이터를 조작해 특정인을 추적하거나 감시하는 기능을 악용할 수 있습니다.
  • CCTV 관리 서버 침입: 중앙 관리 시스템에 침입하면 수천 대의 CCTV를 동시에 조작하거나 영상을 조작할 수 있음
  • 영상 데이터 유출: 영상은 생체정보(얼굴, 걸음걸이 등)를 포함한 민감정보이므로 유출 시 법적 책임과 사회적 신뢰도 하락 초래

특히 공공 CCTV는 국가나 지방정부가 운영하므로, 보안 침해는 곧 행정 시스템 신뢰도와 직결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AI 학습데이터 관리 체계 마련, 영상 암호화, CCTV 접근권한 세분화 등이 요구됩니다.


IoT 센서의 취약점과 연계 위험

스마트시티에는 대기오염 측정기, 온습도 센서, 스마트 가로등, 쓰레기통 등 다양한 IoT 장비들이 도시 전역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장비는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합니다. 이처럼 분산된 IoT 기기들은 보안 사각지대가 되기 쉽습니다.

  • 기기 기본 비밀번호 사용: 해커가 웹을 통해 수천 개의 IoT 장비를 스캔해 접근하는 방식은 매우 흔합니다.
  • 펌웨어 업데이트 미비: 기기가 오래될수록 보안 패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봇넷 감염에 취약
  • 기기 간 연계 공격: IoT 장비 하나를 뚫으면, 이를 매개로 다른 시스템으로 lateral movement(횡이동) 가능

스마트시티 IoT 보안을 위해서는 **기기 제조 단계에서 보안 설계(Security by Design)**가 적용되어야 하며, 운영 시에도 네트워크 세분화, 자동 보안 점검, 이상 트래픽 탐지 시스템 연계가 필요합니다.